상생지원금 2차 기준, 신청 방법

생활비가 빠듯한 요즘, 현금처럼 쓸 수 있는 10만 원 소비쿠폰을 놓치면 손해입니다. “난 대상자인가?” “어디서 신청하지?” 헷갈리셨죠? 이 글에서 누가 받는지(기준)언제·어디서 신청하는지어디서 쓰는지까지, 2차 핵심만 빠르게 정리합니다





2차 한눈에 보기

✅ 지급액: 1인당 10만 원 (2차 추가)
✅ 신청 기간: 2025.9.22(월) 09:00 ~ 10.31(금) 18:00
✅ 신청 요일제: 개시 첫 주(9.22~9.26) 출생연도 끝자리 요일제 운영
✅ 대상: 가구 합산 소득 하위 90%(건강보험료 기준), 다만 고액자산가 제외
✅ 사용기한: 2025.11.30까지 미사용 잔액 소멸
✅ 수령수단: 카드(신용/체크)·지역사랑상품권·선불카드 중 선택

상생지원금 2차


지급 대상 기준 - 고액자산가 제외

  •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 2024년 기준 12억 원 초과 가구 제외
  • 금융소득 합계: 2024년 귀속 2,000만 원 초과 가구 제외

지급 대상 기준 - 소득 하위 90% 판정(건강보험료 기준)

기준일 : 2025년 6월 부과 건강보험료(본인부담·장기요양료 제외) 가구 합산액이 정부 고시 기준표 이하여야 합니다. 먼저 고액자산가(재산세 과세표준 합계 12억 초과 또는 2024년 귀속 금융소득 2천만 원 초과) 제외를 확인한 뒤, 아래 기준표로 판단하세요.

가구 판정 팁
· 가구 구성: 2025.6.18 기준 주민등록표 + 배우자/자녀의 건보 피부양 관계 반영(부모는 원칙적으로 별도 가구).
· 다소득원(맞벌이 등) 가구는 “가구 내 소득원이 2인 이상”인 경우에 해당하며, 기준표를 한 단계 상향(=가구원 수 +1 적용)해 판단합니다.

① 외벌이 가구 기준표 (장기요양료 제외, 원)

가구원 수 직장 지역 혼합(직장+지역)
1인220,000220,000
2인330,000310,000330,000
3인420,000390,000420,000
4인510,000500,000520,000
5인600,000590,000620,000
6인690,000670,000730,000
7인780,000740,000850,000
8인850,000800,000930,000
9인930,000860,0001,050,000
10인 이상1,050,000960,0001,230,000

② 다소득원(맞벌이 등) 가구 기준표 (장기요양료 제외, 원)

가구원 수 직장 지역 혼합(직장+지역)
2인420,000390,000420,000
3인510,000500,000520,000
4인600,000590,000620,000
5인690,000670,000730,000
6인780,000740,000850,000
7인850,000800,000930,000
8인930,000860,0001,050,000
9인 이상1,050,000960,0001,230,000
체크포인트
· 위 금액 이하면 “건보료 기준” 충족(최종 대상은 고액자산가 제외도 함께 통과해야 함).
· 다소득원 가구는 가구원 수를 +1 단계로 보정 적용하는 정부 고시 원칙을 함께 잊지 마세요.




신청 방법(온라인·오프라인)

온라인(권장)

  1. 카드사·플랫폼 앱/웹/ARS 접속 → 대상 조회 → 수령수단 선택 후 신청
    • 9개 카드사: 국민·농협·롯데·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BC
    • 지역사랑상품권 앱: 코나아이·조폐공사·비즈플레이·KIS정보통신·나이스정보통신·부산은행·제로페이·IM뱅크·전북은행
    • 핵심 플랫폼: 케이뱅크·카카오뱅크·토스(뱅크)·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
  2.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앱에서도 대상 조회 가능

오프라인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 카드 연계 은행 창구 방문(국민·농협·신한·우리·하나·기업·경남·광주·새마을금고·우체국·전북·부산·SC제일·제주·수협·저축은행 등)
  • 거동이 불편한 분은 지자체 ‘찾아가는 신청’ 지원
주의 : 개시 첫 주는 요일제(출생연도 끝자리) 적용. 오프라인 요일제는 지자체에 따라 연장될 수 있어 해당 지자체 공지 확인!
상생지원금 2차 신청


언제, 어디서, 어떻게 쓰나?

  • 사용처: 전통시장·소상공인 가맹점, 로컬직매장·지역생협 등 사용처 확대 (지자체/앱 지도에서 가맹점 확인)
  • 사용기한: 2025.11.30까지(미사용 잔액 소멸)
  • 수령수단: 신용/체크카드 포인트형 또는 지역사랑상품권/선불카드 중 선택

<자주 헷갈리는 포인트>

  • 상생페이백과 다름: 상생페이백은 “소비 증가분 20% 환급” 제도이고, 민생회복소비쿠폰은 선지급형 10만 원 추가 지급(2차)입니다. 둘은 서로 실적/사용 규칙이 다릅니다.
  • 스미싱 주의: 정부·카드사·지역화폐사는 URL 링크 문자를 보내지 않습니다. 의심 문자 즉시 삭제!
상생지원금 2차 사용처


대상 조회 & 이의신청

  • 대상 조회: 9/22 09:00부터 카드사·플랫폼·건보공단(앱/웹)에서 조회 가능
  • 이의신청: 9/22~10/31 국민신문고(온라인) 또는 읍·면·동 방문 접수
    • 혼인·이혼·출생·사망 등 6/18 이후 가구 변동 반영 가능
    • 건보료 조정이 필요하면 건보공단 채널로 별도 상담


빠른 체크리스트(체크 후 신청)

  • [ ] 우리 가구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 12억 초과 아님
  • [ ] 우리 가구 금융소득 2천만 원 초과 아님
  • [ ] 2025.6월 건보료 가구 합산이 기준표 이하
  • [ ] 9/22~10/31 기간 내 신청 완료(첫 주 요일제 유의)
  • [ ] 수령수단 선택(카드/지역사랑/선불) 및 11/30까지 사용


FAQ 간단 요약

  1. 미성년자는 누가 신청? 세대주가 신청·수령(세대주가 없거나 ‘동거인’ 표기 등 특수 경우에는 미성년자 본인 신청 가능)
  2. 군 장병은? 2차부터 복무지 인근 상권에서도 사용 가능
  3. 가구 판정은 어떻게? 6/18 기준 주민등록표 + 배우자/자녀 피부양 관계를 반영(부모는 별도 가구)
  4. 사용처 더 넓어졌나요? 네, 로컬 직매장 · 지역생협 등으로 확대


마무리 & 행동 유도

정리하면, 고액자산가 제외 → 건보료 기준 충족이면 1인당 10만 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고, 9/22~10/31 안에 신청만 끝내면 됩니다. 상생페이백과 헷갈리지 말고, 11/30 전까지 알뜰하게 써서 체감 혜택을 챙기세요.




상생지원금 2차 신청방법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