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세 납부기간을 놓치면 가산세 3%부터 시작해 체납 시 불이익이 커집니다.
2기분(주택·토지)은 9월 16~30일이 마감이니, 지금 바로 확인 후 납부하세요.
이 글에서는 ① 재산세 핵심 개념 →
② 2025 납부기간 →
③ 위택스· 인터넷지로· 납부 방법 →
④ 카드 무이자/포인트 혜택 가이드 →
⑤ 절세 팁 & FAQ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재산세란?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주택·건축물·토지 등 재산 소유자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지방자치단체의 복지·교통·환경 예산에 쓰이는 주요 재원이죠.
- 📍 부과 기준일: 매년 6월 1일
- 🏠 과세 대상: 주택, 건축물, 토지
- 👤 납세 의무자: 기준일 현재의 소유자
2025년 재산세 납부기간
구분 | 납부기간 | 대상 |
---|---|---|
1기분 | 2025년 7월 16일 ~ 7월 31일 | 주택·건축물 |
2기분 | 2025년 9월 16일 ~ 9월 30일 | 주택·토지 |
지금(2025-09-13) 기준, 2기분 기간이 진행 중입니다. 9월 30일(월)까지 꼭 납부하세요.
기한 경과 시 가산금 3% + 중가산금(월 0.75%) 부과 가능.
.webp)
재산세 납부 방법
재산세 카드혜택 (2025 최신)
주요 카드사의 재산세 납부 혜택입니다. PC는 표, 모바일은 카드로 보입니다. (행사·조건은 수시 변경되므로 결제 전 카드사 공지 필수 확인)
재산세 납부 시 카드 포인트 활용하기
‘카드로택스’에서 카드 포인트로 세금을 납부할 수 있습니다. 포인트가 세액보다 적어도 먼저 포인트가 사용되고 부족분은 신용카드 결제로 이어집니다. 사용되지 않고 소멸되는 포인트가 매년 수백억 원 규모인 만큼 이번에 꼭 점검해 보세요.
선불카드·간편결제 활용 팁
네이버페이 머니카드처럼 선불충전금+포인트를 함께 쓰는 방식도 유용합니다. 충전금으로 우선 결제되고 부족분을 포인트로 자동 결제해 포인트 낭비를 줄일 수 있어요. 간편결제(네이버·카카오·토스)의 이벤트/적립은 수시 변동되므로 앱 공지에서 최신 조건을 확인하세요.
전자송달+자동납부를 신청하면 총 1,600원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지자체·설정 방식에 따라 상이). 또 고지서가 발급된 이후 카드사 이벤트 기간 내에 납부해야 혜택이 적용되는 점도 꼭 체크하세요.
절세 전략
1) 기준일(6/1) 이후로 매매/등기를 조율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공동명의로 지분을 나누면 과세표준이 분산되고, 카드 혜택도 각 명의별로 받을 수 있습니다.
3) 고령자, 장기보유,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은 지자체별 감면 혜택이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4) 전자고지/자동이체 신청 시 소액 공제 혜택과 연체 방지 효과가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분납이 가능한가요?
A. 일부 지자체에서 위택스 분납을 지원합니다. 기준은 지역마다 다릅니다.
Q2. 공동명의 주택은 누가 내나요?
A. 지분 비율대로 과세되며, 대표자 명의로 고지서가 나올 수 있습니다.
Q3. 감면 대상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A. 지자체 홈페이지·콜센터·위택스 안내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납부 전 체크리스트 ✅
- 📅 납부기한 확인: 7월(1기분), 9월(2기분)
- 📲 전자고지/알림 신청: 연체 방지 + 공제 가능
- 💳 카드 혜택 사전 응모 후 결제
- 👪 공동명의·가족카드 분산 전략
- 🏛️ 지자체 감면 요건 확인
2기분 마감(9/30) 전 지금 납부하고, 카드 혜택까지 챙기세요.